논리연산자(&&, ||, ^, !)
*논리연산자(&&, ||, ^, !) -논리곱(&&), 논리합(||), 배타적 논리합(^), 논리 부정(!) 연산 수행 -흐름 제어문인 조건문(if), 반복문(for, while)에서 실행 흐름을 제어할 때 주로 사용 구분 연산자 설명 AND(논리곱) && 피연산자 모두가 true일 경우 true & OR(논리합) ||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일 경우 true | XOR(배타적 논리합) ^ 피연산자가 하나는 true, 다른 하나는 false일 경우에만 true NOT(논리 부정) ! 피연산자의 논리값을 바꿈 -&&와 ||는 앞의 피연산자가 false라면 뒤의 피연산자를 평가하지 않고 바로 false를 산출함 -&와 |는 두 피연산자 모두를 평가해 산출함 -&,| 보다 &&, || 가 더 효율적으로 동..
2023. 1. 21.
비교연산자(==, !=, <, <=, >, >=)
*비교연산자(==, !=, =) -동등(==, !=) 또는 크기(=)를 평가해 true/false를 산출함 -흐름 제어문인 조건문(if), 반복문(for, while)에서 실행 흐름을 제어할 때 주로 사용 구분 연산자 설명 동등 비교 == 두 피연산자의 값이 같은지 검사 != 두 피연산자의 값이 다른지 검사 크기 비교 > 왼쪽 값이 큰지 검사 >= 왼쪽 값이 크거나 같은지 검사
2023. 1. 21.
부호(+, -), 증감(++, --), 산술 연산자(+, -, *, /, %)
*부호(+, -), 증감(++, --), 산술 연산자 *부호 연산자(+, -) -변수의 부호를 유지하거나 변경 -+연산자는 잘 사용되지 않고, -연산자는 변수값의 부호를 변경할 때 사용함 -부호 변경 시 타입을 주의해야 함 -정수 타입의 모든 연산 결과는 int타입이고 부호를 변경하는 것도 연산이기 때문에 int타입 변수에 대입해야 함 byte b = 100; byte result = -b //컴파일 에러 //정수(byte, short, int)의 연산결과는 //기본으로 int의 타입을 가지고 있음 //따라서 부호를 변경하는 부호연산도 int형에 대입해야함 byte b = 100; int result = -b; *증감연산자(++, --) -변수의 값을 1증가시키거나 1감소시키는 연산자 -변수 단독으로 증..
2023. 1. 18.
타입-정수, 실수, 논리, 문자열
*타입-정수, 실수, 논리, 문자열 -변수가 선언 시 타입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와 허용범위가 달라짐 -자바는 정수, 실수, 논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본(primitive)타입 8개 제공 값의 분류 기본 타입 정수 byte, char, short, int, long 실수 float, double 논리(true/false) boolean -문자열은 기본타입이 아니며 String 타입을 사용하여 변수 선언함 *정수 타입 -총 5개로 각 다른 크기의 메모리 할당과 저장되는 값의 범위를 가지고 있음 -1byte = 8bit이며 bit는 0과 1이 저장되는 단위 -변수에 타입의 허용범위를 초과한 값을 대입했을 때 컴파일 오류 발생 -long타입은 수치가 큰 데이터를 다루는 프로그램에서 사용 -기본적으..
2023. 1. 13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