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앱 권한(Permission)
-앱 동작 시 시스템의 특정 부분을 사용하려면 안드로이드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야 함
-안드로이드 앱의 권한 설정 방법 : 설정파일(AndroidManifest.xml)에 작성 / 소스코드에 작성
--설정파일(AndroidManifest.xml)에 작성 : 일반권한(개인정보 노출이 직접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)일 때 작성, 권한명세와 기능명세가 있음
--소스코드에 작성 : 위험권한(개인정보 노출의 우려가 있을 때)일 때 소스코드에 작성, 권한요청 팝업창을 띄움
*앱 권한(Permission)-설정파일 작성(권한명세, 기능명세)
-설정파일(AndroidManifest.xml)에 작성하는 명세 : 권한명세, 기능명세
--권한명세 : 해당 데이터나 기능의 사용 여부 설정
--기능명세 : 해당 기능이 있는 안드로이드폰에서만 내려받을 수 있도록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받는 것을 방지함
*권한명세 설정
-app - manifests 디렉터리 밑 - AndroidManifest.xml 파일에 작성
-<uses-permission /> 태그를 포함하여 필요한 권한 명세
*기능명세 설정
-권한 이외에 기능에 대한 명세가 필요할 때 설정
-AndroidManifest.xml에 따로 추가하지 않아도 해당기능 사용 시 시스템 자동부여
-직접 사용하려는 기능 명세 시 : <users-feature /> 태그 사용
-기능 명세가 설정되면 스마트폰의 기능 사용 여부에 따라 플레이 스토어 검색 조건 결정
--ex. 앱에 카메라 기능 추가 시
--자동으로 AndroidManifest.xml에 <users-feature android:name="android.hardware.camera" /> 명세
--이렇게 개발한 앱은 플레이스토어에서 카메라가 없는 스마트폰에서 앱 검색이 되지 않음
--만약 카메라 기능이 없는데 앱을 다운받고 싶으면 required옵션을 false로 작성, 예외처리 필수
-오류 방지를 위해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기능명세의 required옵션은 false로 작성하지 않음
이 포스팅에 작성한 내용은 고돈호, ⌜이것이 안드로이드다⌟, 한빛미디어(주), 2022 에서 발췌하였습니다.
'Android App >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앱 권한(Permission)-위험권한 처리, registerForActivityResult()사용(런처, 컨트랙트) (1) | 2022.11.17 |
---|---|
앱 권한(Permission)-보호 수준(일반권한, 위험권한, 서명권한), 종류 (0) | 2022.11.17 |
탭레이아웃(TabLayout) 속성 (0) | 2022.11.16 |
컨테이너:화면전환-뷰페이저(ViewPager), 탭레이아웃(TabLayout) / 뷰 사용 (0) | 2022.11.16 |
컨테이너:화면전환-뷰페이저(ViewPager), 탭레이아웃(TabLayout) / 프래그먼트 사용 (0) | 2022.1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