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젯-ProgressBar
*위젯-ProgressBar
-진행상태를 나타내는 위젯
-현재 진행 중임을 보여주거나 진행의 진척도를 보여주는 용도
*프로그래스 속성
-공통 속성 visiblity
--VISIBLE : 현재 보이는 상태
--INVISIBLE : 현재 안 보이는 상태, 보이지 않지만 공간차지(ex. 3개 버튼 중 가운데 버튼에 설정하면 가운데 버튼이 비어보임)
--GONE : 현재 안 보이는 상태, 보이지 않고 공간차지 하지도 않음(ex. 3개 버튼 중 가운데 버튼에 설정하면 세 번째 버튼이 가운데 버튼 자리로 이동)
*프로그래스 사용(앱 실행 후 프로그래스 3초후에 꺼지기)
-activity_main.xml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androidx.constraintlayout.widget.ConstraintLayout xmlns:android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/android"
xmlns:app="http://schemas.android.com/apk/res-auto"
xmlns:tools="http://schemas.android.com/tools"
android:layout_width="match_parent"
android:layout_height="match_parent"
tools:context=".MainActivity">
<!-- 리니어레이아웃 안에 프로그레스 바, 텍스트 생성 -->
<LinearLayout
android:id="@+id/progressLayout"
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android:gravity="center"
android:orientation="vertical"
app:layout_constraintBottom_toBottomOf="parent"
app:layout_constraintEnd_toEndOf="parent"
app:layout_constraintStart_toStartOf="parent"
app:layout_constraintTop_toTopOf="parent">
<ProgressBar
android:id="@+id/progressBar"
style="?android:attr/progressBarStyle"
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 />
<TextView
android:layout_width="wrap_content"
android:layout_height="wrap_content"
android:text="Downloading..." />
</LinearLayout>
</androidx.constraintlayout.widget.ConstraintLayout>
-build.gradle
-- android{} 스코프 뷰바인딩
//뷰바인딩
buildFeatures{
viewBinding true
}
-MainActivity.kt
class MainActivity : AppCompatActivity() {
//뷰바인딩
val binding by lazy { ActivityMainBinding.inflate(layoutInflater) }
override fun onCreate(savedInstanceState: Bundle?) {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
//뷰바인딩
setContentView(binding.root)
//thread(start=true){} : 함수 블록안의 코드가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함
thread(start=true) {
//Thread.sleep()메서드 : 지정된 시간동안 다음 코드가 실행되지 않음
Thread.sleep(3000) //3000밀리초 = 3초
//UI와 관련된 모든 코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 되어야 함
//showProgress 메서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 되어야 하기 때문에
//runOnUiThread{}를 사용해 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기
runOnUiThread {
//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하는 코드
showProgress(false)
}
}
}//onCreate
//xml의 리니어 레이아웃을 숨겼다 보였다 할 수 있는 코드를 가지고 있는 메서드 생성
fun showProgress(show: Boolean) {
//만약 showProgress가 파라미터로 받은 값이 참 이라면
if (show){
//리니어레이아웃(id:progressLayout)보이기
//VISIBLE : 현재 보이는 상태 (visibility속성 사용)
binding.progressLayout.visibility = View.VISIBLE
}else{
//값이 거짓이라면 안보이게 하기
//GONE : 현재 안 보이는 상태, 공간도 차지하지 않음 (visibility속성 사용)
binding.progressLayout.visibility = View.GONE
}
//위 코드 축약형
//binding.progressLayout.visibility = if(show) View.VISIBLE else View.GONE
}
}//MainActivity
-fun showProgress(show:Boolean){} : 프로그래스바를 보였다가 안 보이게 할 수 있는 매서드 생성하여 코드작성
-실행되면 보여지는 곳(onCreate)에 프로그래스가 3초 뒤(Thread.sleep()사용) 없어지는 코드(showProgress(false)) 작성
--Thread.sleep(지정된 시간) : 지정된 시간동안 다음 코드가 실행되지 않음
-화면을 그리는 코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, onCreate()메서드 안의 코드는 모두 메인 스레드에서 동작
-메인스레드에서 화면을 멈추면 안 되기 때문에 Thread.sleep()코드는 서브 스레드에 동작시켜야 함(thread(start=true){}사용)
--thread(start=true){} : 함수블록 안의 코드가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함(서브스레드)
-UI와 관련된 모든 코드는 메인 스레드에서 사용되어야 함
-화면에서 프로그래스바 없어지는 코드(showProgress(false))는 화면 동작 코드이기 때문에 메인 스레드에서 실행해야 함
-서브 스레드 안에서 3초간 화면을 멈춘 후 메인 스레드에서 프로그래스바를 없어지게 코드를 작성
-runOnUiThread{}를 사용하여 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코드 작성
--runOnUiThread{} : 함수블록 안의 코드가 모두 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함
*사용된 쓰레드 메서드
-Thread.sleep(지정된 시간) : 지정된 시간동안 다음 나오는 코드가 실행되지 않음
-thread(start=true){} : 함수블록 안의 코드가 모두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함(서브스레드)
-runOnUiThread{} : 함수블록 안의 코드가 모두 메인 스레드에서 동작함
-결과 : 앱 실행 시 3초간 그로그래스바가 동작하다가 없어짐
이 포스팅에 작성한 내용은 고돈호, ⌜이것이 안드로이드다⌟, 한빛미디어(주), 2022 에서 발췌하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