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gorithm/Algorithm

데이터 구조-데이터 구조의 이해

AppJinny 2022. 12. 24. 06:26

*데이터 구조-데이터 구조의 이해

-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데이터의 순서나 위치 관계 등을 정하는 것

-컴퓨터 안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됨

-메모리는 상자가 일렬로 나열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, 하나의 상자 안에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함

 

*데이터 구조 접근 방법

-리스트

-배열

-스택

-큐

-해시 테이블

-힙

-이진 탐색 트리

 

 

*데이터 구조의 예 - 전화번호부

1. 위에서부터 차례로 추가

-번호를 받은 순서대로 기입

-특정 이름의 전화번호를 찾고싶을 때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전부 확인하며 찾는 방법밖에 없음

-새로운 번호 추가 시 가장 뒤에 작성하므로 간단하게 추가 가능함

 

2.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관리하여 추가

-이름을 사전순으로 나열

-특정 이름의 전화번호를 찾기 쉬움

-새로운 번호 추가 시 중간에 이름이 들어가야 하는 경우일 때 행의 내용을 한 줄씩 아래로 내리고 원래 행을 지우는 작업 필요

 

3. 선착순과 사전순의 조합

-가행, 나행, 다행 등 행마다 별도의 표를 만들어 관리

-같은 표 내에서는 데이터를 선착순으로 추가

-특정 이름의 전화번호를 찾을 때 각 행의 처음부터 검색해야 하지만 전체를 검색할 필요가 없어짐

-새로운 번호 추가 시 각 행에 맞게 선착순으로 추가하므로 간단함

 

-결론 : 방법들은 모두 장단점이 있으며 전화번호부를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달라짐

-데이터 구조 접근 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목적에 맞게 구조화하여 메모리의 이용 효율을 높여야 함

 

 

 

 


이 포스팅에 작성한 내용은 이시다 모리테루, 미야자키 쇼이치, ⌜알고리즘 도감⌟, 김완섭 옮김, (주)제이펍, 2020 에서 발췌하였습니다.